728x90

 

프로젝트별로의 설정을 해 둘 필요가 있다.

각자의 vscode 설정이 코드에 영향을 주어 

코드 일관성을 해칠 수 있기 때문이다.

 

vscode를 따로 설정하는 방법은 2가지 이다.

 

1. .vscode  직접 폴더 만들기

루트 폴더에 .vscode 폴더를 만들고

setting.json 파일을만들어준다.

그리고 { ... } 내부에 원하는 설정을 추가해두면 끝!

 

 2. 좀 더 쉽게 자동으로 .vscode 폴더 만들기

1번의 방법은 설정 하나하나를 찾아봐야하는 귀찮음이 좀 있다.

[command + shif + p]를 통해서

Open Settings (UI)에 접속한다.

 

그리고 User가 아닌 Workspace탭을 클릭해준다.

 

그러고 나면? 이제 하나하나 설정을 UI에서 변경해줄 때 마다 

루트 .vscode/setting/json 파일에 변경이 반영된다.,.!!

 

auto save 설정을 바꾸니 json파일에 자동으로 추가가 싸악~

 

이제 우리들의 프로젝트의 일관성 유지를 위해

설정을 하나씩 추가해주자!  이전 글에 있던 import 자동 정리가

하나의 예가 되겠다.

 

	"editor.codeActionsOnSave": {
		"source.organizeImports": "explicit"
	},

 

물론 이렇게만 적어두면 다른 사람이 뭔지 파악하기 힘들고 

설정한 사람도 시간이 지나서 무슨 내용인지 까먹을 수 있으니

아래 처럼 주석으로 옆에 표시하거나

settings-desc.json 파일을 별도로 만들어서 관리하는 방법도 있겠다.

 

	"editor.codeActionsOnSave": {
		"source.organizeImports": "explicit" // 저장 시 미사용 import 정리
	},
728x90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