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파비콘
파비콘은 페이지를 열때 상당 탭에 표시되는 작은 아이콘을 말한다. 아이콘으로 해당 사이트를 식별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.
해당 아이콘만 보고도 직관적으로 구글페이지인지, 티스토리 페이지인지 한번에 인지할 수 있다. 오늘은 나만의 페이지에 나만의 파비콘을 추가하는 플로우에 대해서 가볍게 알아보고자 한다. 자신만의 페이지를 만들때 이런 부분도 체크해서 만들어준다면 페이지의 완성도를 더 높일 수 있지 않을까 싶다.
이미지 생성
나는 위의 페이지를 이용해서 나만의 이미지를 먼저 만들었다. 멋쟁이 ai가 만들어주는 이미지이다. 나는 페이지 이름다운 이미지를 만들어 달라고 부탁했다. 생각보다 웅장한 댕댕이가... 참고로 유료 버전에는 이미지를 더 야무지게 만들어줄 옵션들이 있다. 이미지의 주변을 투명하게(transparent) 로 바꿀 수도 있는데, 이는 생각보다 영향을 미치기는 한다.

이는 미리 보는 결과물인데, 구글이나 다른 페이지와는 다르게 원하는 이미지 주변으로 배경까지 하얀색이 들어가있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.
고퀄을 원한다면 유료버전을 사용하거나, 다른 방법을 이용해야할듯하다! (나는 일단 만드는것에 조금 집중!)

여러 포맷으로 변환
https://www.favicon-generator.org/
해당 페이지에 들어가서 원하는 이미지를 올려준다.


그리고 'Download the generated favicon' 을 클릭하면 파일을 다운로드 할 수 있다.
여러 형식으로 바꿔주는데, 우리에게 필요한건 확장자가 .ico 인 파일뿐!
파비콘 반영하기
React : 프로젝트를 만들면 favicon.ico 파일이 있다. 해당 파일을 교체해주면 된다
티스토리 : 관리 > 블로그 설정 에서 파비콘 파일을 넣어주면 된다!
그러고 나면 원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!

'Front-en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Form] React-hook-form 으로 form 컨트롤 하기 (0) | 2024.09.05 |
---|---|
[React] JSX에서 '\n'으로 줄바꾸기가 안될 때 해결방법 (3) | 2024.09.04 |
[상태관리] zustand와 함께하는 상태관리 3, 페이지 새로고침에서 상태 유지하기 (0) | 2024.08.27 |
[상태관리] zustand와 함께하는 상태관리 2, Immer로 큰 상태의 객체 관리하기 (0) | 2024.08.22 |
[상태관리] zustand와 함께하는 상태관리 1, 세팅 및 기본기 (0) | 2024.08.20 |